제1장 현장예술인 예술정책의 중심에 서다 1
제2장 참여정부의 출범과 새로운 예술정책의 모색 4
1. 그동안의 예술정책에 대한 반성
가. 예술정책, 지난 시대의 성과와 한계
나. 문예진흥원의 역할과 한계
2. 예술현장의 위기 : ‘뜨거운 감자’가 된 기초예술
가. 예술의 위기인가? 진흥정책의 위기인가?
나. 시대의 변화가 요구하는 것 : 자율성과 현장성
제3장 현장 중심의 예술지원기구로의 전환 16
1. 혁신의 위한 여정의 시작
가. 첫 발자국 : 민관 협의체계의 구축
나. 충돌하는 이해관계: 위원회 전환에 대한 찬반논쟁
다. 팔길이 원칙 : 위원회 전환에 따른 예술정책 기능조정
라. 전환계획의 마련 : 문화예술진흥법 개정안
2. 공론화와 갈등, 그리고 합의
가. 기대와 우려 : 목청 높은 공청회
나. 반대와 설득 : 문화예술계로 확산되는 전환논의
다. ‘코드’는 없다 : 공감대의 형성
3. 국회로 간 예술가들
가. 기대와 좌절 : 법안의 무산, 보류, 폐기
나. 진보와 보수를 넘어 : 중단 없는 지지와 재상정, 그리고 의결
제4장 문화예술위원회의 출범과 과제 56
1. 문화예술위원회, 기대에는 부응, 우려는 불식
가. 출범 준비 : 설립준비단 구성·운영
나. 아직도 남아있는 쟁점 : 위원회, 누가? 어떻게?
다. 긴 여정의 끝 : 문화예술위원회 출범
2. 자율과 참여가 구현되는 예술정책을 위하여
가. 새로이 생산되는 예술정책들
나. 남아 있는 과제들
제5장 예술, 세상의 변두리에서 심장부로 74
【 부 록 】
1.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설립 일지
2.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·소위원 명단
3. 해외사례 : 잉글랜드예술위원회
4. 위원회 전환에 대한 문화예술인 의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