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대통령 소장 도서]
제1부 가족실태조사의 배경
1장 서론
 1.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
  가.연구의 필요성
  나.연구의 목적
 2.연구내용 및 방법
  가.연구내용
  나.연구방법
  다.연구수행체계
  라.연구기간
2장 한국 가족환경과 가족실태조사
 1.가족환경의 의적 및 내적 변화 양상
  가.지속되는 저출산의 추세와 고령사회로의 초고속 진입
  나.성 정체성의 경계이완과 가족문화의 변화
  다.가족경제의 불안정성 심화
  라.가족관계 및 형태의 변화: 삶의 형태로서의 가족
 2.2005년 가족실태조사의 근거
 3.2005년 가족실태조사의 특성 및 한계
3장 2005년 가족실태조사 질문지 구성
 1.가족관련 조사 및 통계지표의 국내외 동향과 2005년 가족실태조사의 중점 주제 및 지표 설정
  가.국내 가족관련 조사 및 통계지표 검토
  나.국외의 가족조사 동향
  다.중점 주제 및 지표 설정
 2.질문지 내용
  가.가구대표용 질문지
  나.가구원용 질문지
4장 전국조사 실시
 1.조사설계
 2.표본설계
  가.모집단의 정의 및 표본추출의 기본 틀
  나.표본의 크기 및 배분
  다.표본의 시도별 배분법
  라.표본조사구 추출 과정
  마.조사대상 가구의 선정
  바.응답자의 선정
 3.실사진행
  가.실사 진행 과정
  나.본조사 진행 절차
  다.가구 응답률
 4.자료 처리 및 표본 오차
  가.자료 처리 절차
  나.표본 오차
 5.응답자 특성표 
  가.가구 데이터
  나.가구원 데이터
제2부 한국 가족실태조사 분석결과
1장 응답가구 및 가구원의 일반적 특성
 1.응답 가구의 가족형태 및 가구 특성
  가.응답 가구의 가족형태별 분포
  나.응답 가구의 세대별 분포
  다.응답 가구의 가구원 수
 2.응답대상자의 특성
  가.가구대표(주응답자)의 특성
  나.대상 가구원의 특성
 3.요약 및 소결
2장 가족의 경제상황
 1.서론
 2.조사내용 및 분석방법
 3.분석결과
  가.주거 현황
  나.소득 및 자동차 소유 현황
  다.노후 준비 현황
 4.요약 및 소결
3장 가족관계(1): 부부 관계
 1.서론
 2.자료의 성격과 분석방법
 3.분석결과
  가.부부의 권력관계
  나.부부의 역할분담
  다.부부관계의 질과 만족도
  라.부부갈등
 4.요약 및 소결
4장 가족관계(2): 부모자녀 관계
 1.서론
 2.자료의 성격과 분석방법
 3.분석결과
  가.부모관점에서 본 부모.자녀관계
  나.자녀관점에서 본 가족관계
  다.부모-자녀의 의사소통
  라.부모와 자녀의 여가생활
 4.요약 및 소결
5장 돌봄노동(1): 아동돌봄
 1.서론
 2.조사내용 및 분석결과
  가.가구 및 아동의 특성
  나.서비스시설 이용의 돌봄실태
  다.시설이용의 돌봄실태
 3.요약 및 소결
6장 돌봄노동(2): 노인 및 기타 가족원의 돌봄
 1.서론
 2.조사내용 및 분석결과
  가.가족내 노인 돌봄
  나.가족내 환자 돌봄
 3.요약 및 소결
7장 가구원의 가사 참여
 1.서론
 2.조사내용 및 분석결과  
  가.가구원의 가사일 참여 여부
  나.가사일 참여 횟수 총 소요시간
 3.요약 및 소결
8장 가족여가
 1.서론
 2.조사내용 및 분석결과
  가.가족시간의 공유
  나.여가시간의 활동종류
  다.가족여가 제약요인
  라.가족구성별 여가활동
 3.요약 및 소결
9장 가족의식 및 가치관
 1.서론
 2.조사내용 및 분석결과
  가.가구원의 가족의식 및 가치관
  나.부부의 가족의식 및 가치관 일치도
 3.요약 및 소결
10장 가족의 복지 및 정책욕구
 1.서론
 2.조사내용 및 분석결과
  가.저출산 대응 정책 및 양육관련 휴가제도
  나.가정.직장 양립 지원제도
  다.가족의 노인부양 지원정책 및 서비스
  라.가족생활지원 서비스
  마.가족 지원 제도
 3.요약 및 소결
제3부 가족실태조사 결과의 함의와 여성가족부의 가족정책 추진방향
1장 가족실태조사 결과의 함의
 1.조사 가구 및 가구원의 특성
 2.가족형성
 3.가족의 경제상황
 4.부부과녜
 5.부모자녀관계
 6.아동 돌봄
 7.노인 및 기타 가족원(환자)의 돌봄
 8.가사참여
 9.가족여가
 10.가족의식 및 가치관
 11.가족의 복지 및 정책욕구
2장 적극적 가족정책의 필요성 및 여성가족부의 가족정책 추진방향
 1.적극적 가족정책의 필요성
 2.여성가족부의 가족정책 추진방향